
[P4C] C언어 코딩 도장 : UNIT 23 ~ UNIT 25
2021. 2. 19. 17:52
Programming Languages/C
Unit 23. 비트 연산자 사용하기 비트 연산자는 바이트 단위보다 더 작은 비트 단위로 연산하는 연산자이다. - 비트(Bit): 2진수를 저장하는 단위다.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최소 단위이며 0과 1을 나타낸다. - 바이트(Byte): 8비트 크기의 단위이다. 비트 연산자는 비트로 옵션을 설정할 때 주로 사용하며 저장 공간을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. 특히 이런 방식을 플래그(flag)라고 부른다. 23.1 비트 AND,OR,XOR 연산자 사용하기 - a & b - a | b - a ^ b #include int main() { unsigned char num1 = 1; // 0000 0001 unsigned char num2 = 3; // 0000 0011 printf("%d\n", num1 ..

[P4C] C언어 코딩 도장 : UNIT 20 ~ UNIT 22
2021. 2. 19. 15:18
Programming Languages/C
Unit 20. 비교연산자와 삼항 연산자 사용하기 20.1 비교 연산자 사용하기 비교 연산자는 값을 비교할 때 사용하며 연산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. #include int main() { int num1 = 10; printf("%d\n", num1 == 10); // 1: num1이 10과 같은지 printf("%d\n", num1 != 5); // 1: num1이 5와 다른지 printf("%d\n", num1 > 10); // 0: num1이 10보다 큰지 printf("%d\n", num1 = 10); // 1: num1이 10보다 크거나 같은지 printf("%d\n", num1 삼항 연산자는 참, 거짓에 ..

[P4C] C언어 코딩 도장 : UNIT 17 ~ UNIT 19
2021. 2. 18. 15:06
Programming Languages/C
Unit 17. if 조건문으로 특정 조건일 때 코드 실행하기 17.0 if 조건문 사용하기 조건문은 특정 조건일 때 코드를 실행하는 문법이다. if 조건문은 괄호 안에 조건식을 지정하여 사용한다. if (조건식) { 코드 } C 언어에서 조건문은 if ( ) 형식으로 사용하며 ( ) (괄호)안에는 조건식이 들어간다. 그리고 { } (중괄호) 안에는 조건식이 만족할 때 실행할 코드를 넣는다. 17.2 if 조건문과 세미콜론 #include int main() { int num1 = 5; if (num1 == 10); // if 조건문 끝에는 세미콜론을 붙이면 안 됨 { printf("10입니다.\n"); } return 0; } * 주의 : if 조건문 끝에는 세미콜론을 붙이면 안 됨 if 조건문 뒤에 ..

[P4C] C 언어 코딩 도장 : 문제 풀이2
2021. 2. 18. 11:25
Programming Languages/C
12.5 심사문제 : 덧셈, 뺄셈하기 문제 : 표준 입력으로 실수 두 개가 입력됩니다. 다음 소스 코드를 완성하여 입력된 두 실수를 더한 값에서 4.5를 감소시킨 값이 출력되게 만드세요. 정답 : #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#include int main() { float num1; float num2; float num3; scanf("%f %f", &num1, &num2); num3 = num1 + num2; num3 -= 4.5; printf("%f\n", num3); return 0; } 13.7 심사문제 : 증가, 감소 연산자 사용하기 문제 : 표준 입력으로 정수, 실수, 문자가 입력됩니다. 다음 소스 코드를 완성하여 입력된 정수와 실수는 1 증가시키고, 문자는 알..

[P4C] C언어 코딩 도장 : UNIT 12 ~ UNIT 16
2021. 2. 17. 23:34
Programming Languages/C
Unit 12. 덧셈, 뺄셈하기 #include int main() { int num1; int num2; num1 = 1 + 2; // 1에 2를 더해서 num1에 저장 num2 = 1 - 2; // 1에서 2를 빼서 num2에 저장 printf("%d\n", num1); // 3 printf("%d\n", num2); // -1 return 0; } 다음과 같이 덧셈은 + 연산자, 뺄셈은 - 연산자를 사용한다. * 변수 하나에서 값을 더하거나 빼기 C 언어에서는 num1 = num1 + 2;와 같이 num1을 두 번 입력하지 않도록 덧셈 후 할당 +=, 뺄셈 후 할당 -= 연산자를 제공한다. - 변수 += 값 - 변수 -= 값 #include int main() { int num1 = 1; int n..

[P4C] C언어 코딩 도장 : UNIT 9 ~ UNIT 11
2021. 2. 17. 21:48
Programming Languages/C
Unit 9. 문자 자료형 사용하기 C 언어에서는 정수 자료형인 char를 이용하여 문자 한 개를 저장한다. char에 문자를 저장할 때는 문자 자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에 해당하는 정숫값을 저장하게 된다. 각 정숫값이 어떤 문자에 해당되는지 표로 나타낸 것이며 이 규칙을 아스키(ASCII) 코드라고 한다. C 언어에서 문자는 ' ' (작은따옴표)로 묶어서 표현한다. char c1 = 'a'; 작은따옴표는 문자 하나만 묶을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은 묶을 수 없다. 9.1 문자 변수 선언하기 #include int main() { char c1 = 'a'; // 문자 변수를 선언하고 문자 a를 저장 char c2 = 'b'; // 문자 변수를 선언하고 문자 b를 저장 // char를 %c로 출력하면..

[P4C] C언어 코딩 도장 : UNIT 5 ~ UNIT 8
2021. 2. 15. 21:58
Programming Languages/C
Unit 5. 변수 사용하기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값을 다루려면 변수가 필요하다. 따라서 이번에는 변수를 만들고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다. C 언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코드를 입력하여 변수를 만든다. - 자료형 정수이름; #include int main() { int num1; // 정수형 변수 선언 int num2; int num3; num1 = 10; // 변수에 값 할당(저장) num2 = 20; num3 = 30; printf("%d %d %d\n", num1, num2, num3); // 10 20 30: 변수에 저장된 값을 %d로 출력 return 0; } 변수를 만드는 과정(int num1;)을 "변수를 선언한다"라고 부르는데, 변수를 선언할 때는 반드시 맨 뒤에 ;..

[P4C] C 언어 코딩 도장 : 문제 풀이
2021. 2. 15. 21:30
Programming Languages/C
3.9 심사문제 : 문자열 출력하기 문제 : 다음 소스 코드를 완성하여 "Hello, world!"두 개가 각 줄에 출력되게 만드세요. 정답 : #include int main() { printf("Hello, world!\n"); printf("Hello, world!"); return 0; } 3.10 심사문제 : 서식 지정자 사용하기 문제 : 다음 소스 코드를 완성하여 "Hello, C Language"가 출력되게 만드세요. 정답에는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코드만 작성해야 합니다. 정답 : #include int main() { printf("%s, %s %s\n", "Hello", "C", "Language"); return 0; } 5.6 심사문제 : 변수를 선언하고 값 할당하기 문제 : 다음 ..